• 최종편집 2023-06-09(금)
실시간뉴스

투데이 HOT 이슈

최만순의 약선요리,"통풍을 예방하는 차"
최만순의 약선요리 스치는 바람에도 죽을 만큼 고통스럽다. ′통풍′이 잘 발병하는 24절기 중 ′망종시절(芒種時節)′이다. 망종 풍속은 보통 농사의 한 해 운을 보며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였다. 세시 속담에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다. 망종 전에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망종이 지나면 무르익은 보리가 바람에 쓰러지는 일이 많아 최소한 이 때까지는 보리 베기를 마쳐야 한다. 예전에 경상도는 보리를 많이 심었다. ″발등에 오줌 싼다″는 속담처럼 1년 중에 이 시기가 가장 바빴다. ′본초(本草)′에 보리는 맛은 달고 평하며 비장과 위장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젓을 잘 나오게 하며 뱃속에 소화되지 않은 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고 구토나 설사가 나오며 유방에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경남 남해에 사는 필자의 제자는 매년 바닷바람을 머금은 야생화와 약초를 채취를 하여 효소를 만든다. 그 중에서 ′구절초′가 6월 첫 더위에 좋다. 약선에서 음식을 만들 때는 증세에 따라 식재를 선택하여 요리한다. 첫째 질병이나 재료의 음양을 항상 먼저 생각하게 된다. 크게 구분하면 밖은 양이요 안은 음이다. 급성병은 대개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등 맹렬한 통증을 동반하여 온다. 그 반면에 만성병은 대체로 안쪽에 숨어 있는 증세다. 만성병은 병세도 급격하지 않고 치료 또한 쉽지 않다. 보통 밖으로 드러나는 병세를 치료하는 방법은 첫째 땀을 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땀을 내면 ′발한해열(發汗解熱)′에 의하여 병의 독을 살갗과 호흡기를 통해 몸 밖으로 발산을 시켜준다. 이와는 반대로 안에 있는 증세의 치료법은 아래로 내려 준다. 이것은 곧 이뇨제나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재료를 쓴다. 병의 근원을 대변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을 시켜준다. 보통 땀을 내는 재료는 담백한 향기가 난다. 향기란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서 흩어져 버리는 성질을 가진 양성재료다. 아래로 내리는 재료는 쓴맛이 있는 음성재료다. 그러므로 겉으로 드러나는 증세와 안에 숨어 있는 증세를 음과 양으로 갈라서 선택을 한다. ■통풍을 예방하는 차 ▲효능-갑작스런 더위는 소화기관(脾胃)을 냉하게 만들어 혈액이 잘 돌지 않는다. 수족 냉증으로 손발이 저리고 통풍이 오는 것을 방지하며 여름 감기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개화직전의 구절초1kg. 원당800g ▲만드는 법 1.구절초를 흐르는 물에 씻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말린다. 2.꽃과 설탕을 넣고 3개월 후 채에 받쳐 액기스를 받는다. 3.액기스만 1년 이상 숙성시켜 효소를 만든다. 4.효소 20g을 1회분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신다.

포토슬라이드 뉴스
1 / 1

주요뉴스 더보기

최만순의 약선요리,"통풍을 예방하는 차"

최만순의 약선요리 스치는 바람에도 죽을 만큼 고통스럽다. ′통풍′이 잘 발병하는 24절기 중 ′망종시절(芒種時節)′이다. 망종 풍속은 보통 농사의 한 해 운을 보며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였다. 세시 속담에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다. 망종 전에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망종이 지나면 무르익은 보리가 바람에 쓰러지는 일이 많아 최소한 이 때까지는 보리 베기를 마쳐야 한다. 예전에 경상도는 보리를 많이 심었다. ″발등에 오줌 싼다″는 속담처럼 1년 중에 이 시기가 가장 바빴다. ′본초(本草)′에 보리는 맛은 달고 평하며 비장과 위장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젓을 잘 나오게 하며 뱃속에 소화되지 않은 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고 구토나 설사가 나오며 유방에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경남 남해에 사는 필자의 제자는 매년 바닷바람을 머금은 야생화와 약초를 채취를 하여 효소를 만든다. 그 중에서 ′구절초′가 6월 첫 더위에 좋다. 약선에서 음식을 만들 때는 증세에 따라 식재를 선택하여 요리한다. 첫째 질병이나 재료의 음양을 항상 먼저 생각하게 된다. 크게 구분하면 밖은 양이요 안은 음이다. 급성병은 대개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등 맹렬한 통증을 동반하여 온다. 그 반면에 만성병은 대체로 안쪽에 숨어 있는 증세다. 만성병은 병세도 급격하지 않고 치료 또한 쉽지 않다. 보통 밖으로 드러나는 병세를 치료하는 방법은 첫째 땀을 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땀을 내면 ′발한해열(發汗解熱)′에 의하여 병의 독을 살갗과 호흡기를 통해 몸 밖으로 발산을 시켜준다. 이와는 반대로 안에 있는 증세의 치료법은 아래로 내려 준다. 이것은 곧 이뇨제나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재료를 쓴다. 병의 근원을 대변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을 시켜준다. 보통 땀을 내는 재료는 담백한 향기가 난다. 향기란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서 흩어져 버리는 성질을 가진 양성재료다. 아래로 내리는 재료는 쓴맛이 있는 음성재료다. 그러므로 겉으로 드러나는 증세와 안에 숨어 있는 증세를 음과 양으로 갈라서 선택을 한다. ■통풍을 예방하는 차 ▲효능-갑작스런 더위는 소화기관(脾胃)을 냉하게 만들어 혈액이 잘 돌지 않는다. 수족 냉증으로 손발이 저리고 통풍이 오는 것을 방지하며 여름 감기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개화직전의 구절초1kg. 원당800g ▲만드는 법 1.구절초를 흐르는 물에 씻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말린다. 2.꽃과 설탕을 넣고 3개월 후 채에 받쳐 액기스를 받는다. 3.액기스만 1년 이상 숙성시켜 효소를 만든다. 4.효소 20g을 1회분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신다.

경제 더보기

경남도, 청년이 일하기 좋은, 청년이 일하고 싶은 ‘경남형 청년친화기업 20개사’ 선정

경남도(도지사 박완수)는 청년이 일하기 좋은 ‘2023년 경남형 청년친화기업’으로 20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경남형 청년친화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경상남도투자경제진흥원과 공동으로 공공기관 인증을 받은 도내 소재 53개 중소기업을 모집하였으며, 사전․서면심사와 현장실사, 청년친화기업 선정위원회를 거쳐 20개사를 선정했다. 서류심사에서는 ▲임금수준 ▲고용 창출 성과 ▲기업안정성 ▲고용유지율 ▲ 자기계발 및 복지공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했다. 현장실사에서는 기업의 근무환경을 확인하고, 임직원 인터뷰를 실시해 편의시설 보유와 복지제도, 일생활균형제도 운영 여부를 검토했다. 청년친화기업 선정과정에는 도내 청년 활동가들이 직접 평가에 참여했다. 현장실사단에 경남 청년 10명을 포함해 구성했고, 청년이 기업을 직접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인터뷰를 실시해 청년이 일하고 싶은 기업을 선정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2023년 청년친화기업은 ▲낙우산업㈜(이용민) ▲남도하이텍(주) (신오섭) ▲스카나 코리아 하이드로릭(주)(노현방) ▲㈜느티나무의 사랑(정선희)▲㈜디에스피(김진형) ▲㈜바이저(송미란) ▲㈜삼양옵틱스(황충현) ▲㈜시선아이티(박관헌) ▲㈜아이웍스(정민영) ▲㈜엠지아이티(정우철) ▲㈜폴리코리아(이선홍) ▲㈜에어로매스터(서정배) ▲㈜엔스퀘어(탁승민) ▲㈜유승(조용건) ▲㈜인포스텍(서창옥) ▲㈜재상피앤에스(오태강) ▲㈜재영테크윈(최명재) ▲㈜제이이엔지(정원태) ▲㈜하늘바이오(윤효미) ▲케이피항공㈜(윤승욱) 등 20개 기업이다. 경남형 청년친화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에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청년친화기업은 근무환경 개선 지원, 육아휴직 대체인건비 지원, 추가 고용장려금 등 인센티브를 받게 되고, 청년노동자도 주거 안정 지원혜택을 받는다.

문화/생활 더보기

부산근현대역사관,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부산근현대역사관은 인문학 복합문화공간인 별관에서 6월부터 9월까지 심리 탐구 체험 프로그램 <에고(Ego) 아일랜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문학‧역사‧철학 등 인문학의 주된 탐구 대상은 바로 ‘인간’이다. 그중에서도 ‘자아 성찰’은 타인은 물론 세상의 모든 생명체와의 공존을 위해 우선해야 할 과제다. 이에 인문학 공간을 지향하는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에서는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자아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고자 이번 심리 탐구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에고(Ego) 아일랜드>는 자칫 어렵거나 지루할 수 있는 내면 탐색 과정에 흥미와 성취감을 불어넣기 위해 ‘보드게임’이라는 요소를 활용한다. 게임 구성품은 섬이 그려진 지도 형태의 ‘보드(board)’와 60여 개의 ‘질문 카드’, 각 질문에 대한 답을 적을 수 있는 ‘워크북’으로 구성됐다. 섬은 6개 구역(해안, 정글, 사막, 동굴, 평원, 설산)으로 나뉘어 있는데, 구역별로 내용이 다른 질문 카드에 답하며 자신만의 자원(장점), 문제, 취향, 감정, 관계, 목표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자신에 대해 다방면으로 고민하며 작성한 ‘워크북’은 참여자들이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자아 탐색의 주된 방식은 ‘문답’으로, 프로그램은 2인 1조로 진행된다. 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 방식은 부산의 한 예비사회적기업이 직접 기획․제작한 것으로, 심리‧직업상담사 등 각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질문을 구성했으며, 특히 청소년 및 무기력 청년 무직자(니트족) 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수차례 진행하고 수정‧보완해 완성도를 높였다. 상설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기에 앞서,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에서는 지난 5월 두 차례 시범 기간을 가졌다. 그 결과 참신성과 높은 완성도 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가족, 연인, 동료, 친구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며 대중성 또한 입증했다. 참석자 대부분이 “나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해 해당 프로그램이 인문학 공간인 별관의 운영 방향과도 부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고 아일랜드> 프로그램은 매주 일요일 오후 4시부터 한 시간 진행되며, 7월 프로그램부터 부산근현대역사관 누리집을 통해 회차별 14명 선착순 접수로 진행된다. 부산근현대역사관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에서 잠시나마 자신에게 몰입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라며, “특히 현재 진로를 고민하고 있거나, 인생의 방향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분에게 더욱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특별대담 더보기

방송 3社 주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끝장 토론’을 즉각 실시하라!

방송 3社 주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끝장 토론’을 즉각 실시하라! 오늘의 내용은 ‘신광조’ 선생이 쓰신 몇 편의 글에서 방사능과 관련된 부분만 모아서 정리했습니다. 나라가 참으로 어렵습니다. 경제상황도 녹록치 않지만, 더욱 심난한 것은 국민들이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데서 오는 불신문제입니다. 정부를 국민이 신뢰하지 않는 것도 보통 문제가 아니지만, 이는 국민들 간에 서로를 희망의 경쟁상대로 보지 않고, 소 닭 보듯 하거나 미움을 넘어 증오하고 있습니다. 어느 날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나라를 경영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냐?”고 질문을 했습니다. 제자의 질문에 공자는 “나라를 경영하는 기본은 식량을 비축하고, 군비를 충실히 하고, 백성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자공이 다시 “그 중에서 마지막까지 하나를 갖는다면 무엇을 취해야 합니까?”라고 질문을 했습니다. 공자가 “군비와 병력확충보다 중요한 것이 식량 비축이다. 그러나 그보다 더 가장 중요한 것은 백성들의 신뢰다. 백성들이 믿고 따르지 않는다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사회는 신뢰감 없이는 성립하지 못합니다. 정치를 못 믿고 사람을 못 믿어 불신이 극한에 이르면 사회는 붕괴하고 맙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정치의 근본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국민과 위정자가 서로 믿어야 돌아가는 것이 정치입니다. 신망 없는 위정자가 국민 앞에 나설 수 없듯이, 신망을 잃은 나라는 세계로 진출할 수 없습니다. 불신으로 가득 찬 사회는 일은 하지 않고 모든 책임을 남에게 돌리는 데에만 급급합니다. 우리는 지난 2008년 엄청난 광우병 소동을 겪었습니다. 미국산(産) 소고기 수입 여부를 두고 항의하는 촛불집회와 시위가 무려 106일간 열린 것입니다. K-광우병 소동은 실제 환자가 생겨서가 아니라, 정부나 여당정치권이 ‘MBC PD수첩’ 등에서 미국산 소고기를 수입 시 국민에게 怪病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대로 설명하거나 반박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입니다. 일부 과학자나 식품영양학자들 그리고 이에 부화뇌동한 언론이나 시민단체들이 제기한 위험성은 사후 확연히 판명되었지만, 어처구니없이 왜곡되거나 과장된 것이었습니다.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광우병에 걸릴 가능성이 훨씬 더 높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둥, 지금 생각해보면 말도 되지 않는 과장되고 잘못된 정보가 의도적인 것인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인지, 알 수도 없게 퍼져, ‘대통령 물러나라, 농수산 장관 물러나라!’ 등의 탄핵 열풍으로 번졌습니다. 여기에 소모된 금전적 손해액만 5천억 원이 넘는다는 경제 분석 보고서가 있습니다. 결국 자국산 소고기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괴담이라고 판명된 광우병 소동은 정권을 흔들었습니다. 광우병 소동으로 세계를 깜작 놀라게 한 대한민국은 13년만인 2022년 미국산 쇠고기 최대 수입국이 되었습니다. 마장동에서 수입 쇠고기를 팔아 자식들 학비를 대던 내 친구는 몇 개월의 광우병 소동을 견디지 못하고, 가게를 접고 빈털터리가 되었습니다. 광우병에 취약한 MM 유전자를 한국인은 95%나 보유하고 있어 좁쌀만한 크기의 고기를 섭취해도 뇌가 숭숭 뚫리고 감염된다는 거짓 정보를 국민 대다수가 믿었습니다. 광우병 소동의 단초이자 수훈갑인 ‘MBC PD수첩’ 당사자들은 시청률 올렸다고 출세하고 사장 등도 하면서 지금도 잘나가고 있지만, 소고기 수입으로 먹고 살았던 수많은 국민들은 아무 잘못도 없이 피눈물을 흘렸고 삶을 自暴自棄했습니다. 또 다시 일고 있는 제2의 광우병 소동인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 처리문제를 슬기롭게 해결 못하면 우리 모두 파멸입니다. 탈원전 정책이 나라를 깨끗이 망하게 하는 망국의 정책임을 간파하면서 방사선, 방사능 등에 대해서 많이 연구하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는데, 거의 대부분의 국민이나 원자력 정책을 다루는 공무원들마저도 방사선 방사능을 제대로 모르고 완전히 오해하고 있는 사실이었다. 외국 의과학 저널에 실린 수많은 핵의학 관련 논문을 조사한 결과, 과도∙과다하지 않는 방사선 쪼임은 세포를 각성시키고 활성화시켜 암 발생을 낮추는 등 건강에 이롭게 작용한다는 것이었다. 이런 사실을 깨닫고 나서야 방사능 물질이 검출된 대만의 수돗물 음용 국민들이 더 건강해졌고 미국 콜라라도 덴버시, 이란 람사르 지역 리오의 해변 등 방사선이 과다한 지역이 휴양지이고 장수지역이라는 것이 조금씩 이해되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원자력 방사선이 아무 잘못이 없음에도 이유도 따지지 않고 무서워하고 미워합니다.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문제는 온 나라를 뒤흔들 복병입니다. 전혀 문제가 없다는 측과, 바다를 오염시키고 온 국민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측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사실과 과학에서 반은 맞고 반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To be or Not to be’, 즉 0과 1이 있을 뿐입니다. 진실(True) 또는 허위(False)만 있을 뿐입니다. 지금 어느 한 쪽은 ‘일부러’ 또는 오해하여 거짓을 말하고 있습니다. 주장으로 인한 피해는 주장하는 자에게 돌아가지 않으며, 논란이 거듭될수록 피해는 고스란이 수산업자를 비롯한 국민들이 입게 됩니다. 사단법인 <사실과 과학>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나의 견해는,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로 국민의 건강 피해는 전혀 없다’는 것이 확고한 입장입니다. 나는 과학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수많은 과학자들의 이론과 견해를 탐색하고 그들의 논리 진위를 가리는 데 수많은 불면의 밤을 지새웠습니다. 나의 견해는 확고합니다. 월성 1호기 방사능 삼중수소가 멸치 한 마리 먹는 것과 같은 방사능 양에 해당하듯,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가 미국 캐나다 태평양 적도를 지나 5년 후 제주도에 도착하면, 우리가 그 바닷물이나 수산물을 최대한 먹는다고 해도 일 년에 전복 한 마리 먹는 것 정도입니다. 나의 의견에 대한 반박을 기대하면서, 일단은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는 국민건강에 아무런 문제가 없고, ‘이러한 논란은 아무 죄도 없는 우리 수산업자들만 기분이나 헛소문으로 인해 다 죽인다.’는 논리를 밝혀 둡니다. 왜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가 국민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과학에 바탕을 두지 않는 선동이론이자, 가짜 이론일까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방사성물질의 영향이 과연 무엇인가가 큰 관심사입니다. 장기간의 영향은 아무도 모른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특히 여과를 통해 제거하지 못하는 삼중수소가 문제라는 주장도 많습니다. 그러나 이런 주장들에는 가장 중요한 내용인 방사성물질의 양과 농도, 그리고 정량적인 피폭량 이야기가 빠져 있습니다. 당연히 방사성물질에 의한 인체 위해는 우리가 섭취하는 양이 얼마인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은 상식입니다. 농도의 양과 피폭량을 말하지 않고 “미량이라도 위험하다”, “장기간이면 위험할 수도 있다”고 하는 것은 지어낸 괴담입니다. 이것은 가짜 조작논문으로 1950년대 노벨 과학상을 수상한 ‘아무리 작은 방사선량이라도 위험할 수도 있다’는 멀러 과학자의 LNT 가설에 起因하는데, 이것은 이미 21세기 과학계의 최고 스캔들로 밝혀졌습니다. 한국의 환경운동가나 탈원전파 과학자들만 상식을 거부하고 헛소리를 외치고 있는 것입니다. 빗물에는 자연에서 생성된 삼중수소가 1리터에 1베크렐 (Bq) 정도가 들어 있습니다. 1 베크렐(Bq)은 1초에 1개의 방사선이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민물에는 리터당 1Bq의 삼중수소가 들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서울시민들이 소변검사를 하면 1리터당 1∽2 Bq의 삼중수소가 검출됩니다. 반면 민물에 흘러 들어가는 바닷물 속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 당 0.1 Bq 안팎입니다. 이것은 물이 바다에 머무르는 동안 삼중수소가 반감기에 따라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민물장어를 먹으면 같은 양의 바닷장어를 먹을 때와 비해 10배 많은 삼중수소를 섭취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민물장어를 먹으면 위험한가? 전혀 아닙니다. 장기간 먹으면 위험한가? 전혀 아닙니다.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바다로 많이 흘러 들어가면 부근 바닷물의 삼중수소 농도가 평소보다 올라 갑니다. 이 시기에 잡힌 물고기를 섭취하면 위험한가? 전혀 아닙니다. 삼중수소가 축적된 물고기가 막 잡히는가? 전혀 아닙니다. 매년 동해에 비로 내리는 삼중수소량이 후쿠시마에 저장된 총 삼중수소량보다 더 많습니다. 그 영향이 있습니까? 전혀 아닙니다. 후쿠시마에서 방류 후 수 km만 흘러가도 삼중수소 농도가 리터당 1Bq로 민물 수준이 됩니다. 물은 흘러가면서 거의 모든 것들이 희석되는 것입니다. 후쿠시마 방류수는 5년 동안 흘러 흘러 제주도에 도착합니다. 바닷물이 수 km만 흐르면, 삼중수소 농도 차원에서는 민물이 비다로 유입되는 경우와 같습니다.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서 삼중수소 농도변화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장기간의 영향도 없다는 것은 꼴통 과학자이거나 마누라가 강의실까지 쫄쫄 따라다니며 감시받고 사는, 前 S대 싸이코 교수를 빼고는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럼 방류구 바로 앞은 위험할까요? 전혀 아닙니다. 후쿠시마 방류수 삼중수소 농도 상한선은 1리터당 1,500Bq입니다. 음용은 불허되지만, 이 방류수를 하루 2리터씩 365일 마신다면 그 피폭량은 청정한 바다에서 자란 전복을 1마리 먹어서 그에 함유된 방사성 물질 폴로늄을 먹고 피폭 받는 양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80년동안 매일 2리터씩 평생 마신다고 해도, 매년 전복 한 마리씩 먹는 것과 같아서 평생동안 80마리 전복을 먹는 효과와 같은 것입니다.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가 건강에 해롭다면 나처럼 완도 소안도에 가서 한 번에 전복을 50마리씩 먹는 자는 폴 쎄 방사능에 피폭되어 눈이 멀든지 뼈가 녹아 앉은뱅이가 되었어야 할 것입니다. 이정윤처럼 방사능 위험을 과다하게 부풀려 안전에 관한 용역을 따내고 ‘개 뼈다구’ 같은 용역보고서를 써 돈을 많이 벌면서 전복 같은 다량의 방사능 함유 수산물을 배 터지게 먹고 사는 자는 그럴 것입니다. “신 박사님! 신 박사님!( 참고로 나는 박사학위를 소유한 자가 아니다. 4학기를 마치고 중간에 학비가 없어 그만 뒀다) 후쿠시마 삼중수소는 인공 방사성물질이고, 전복의 폴로늄은 자연 방사성 물질이니 다르다고 탈핵 교주 김익중이가 가르쳐줬어라, 김익중이 강의도 많이 해서 돈도 많이 벌었다오. 또 신 박사님과 고향이 같은 광주 출신 아니요. 어린 학생들하고 겁 많은 주부들에게 잘 먹히고 침 튀겨 가면서 강의도 열심히 하요.” “뚱딴지 같은 소리 그만 좀하고 정신 좀 차리시오. 전혀 그렇지 않소, 폴로늄은 실제로는 암살에 사용된 독성물질이지만 전복 등 해산물이나 육지에서 나는 육류 등 우리 먹거리 대부분에 들어 있는 것과 똑 같소. 흙 설탕과 백설탕이 색깔만 다르지 어떻게 성분이 다르겠소. 김익중이하고 계나 묻으시오. 전복에 있는 것과 같이 극미량이라면, 피폭이 극미량이고, 그것은 남자의 거시기에만 좋을 뿐, 건강에 영향은 전혀 없는 것이오. 우리는 바다와 강에서 수많은 먹거리를 채취하면서, 이미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의 영향이 없음을 이미 경험했소. 일본이 우리나라에 방류에 대한 양해를 먼저 구하고, 우리는 방류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오.”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가 무섭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거짓말쟁이들입니다. 사실 온 세상에는 방사능 천지입니다. 사람들이 맛있어 하고 몸에 좋은 과일이나 고기에는 방사능 물질이 충분히 들어 있습니다. 탈핵 강의하고 다니며 돈을 많이 버는 김익중이가 세슘 방사능 물질이 들어있다고 300년간 먹지 말라는 후쿠시마산 고등어 2마리에는 오늘 아침 내가 먹은 바나나 1개에 들어있는 방사능 물질 세슘137의 양이 똑같이 들어 있습니다. 월성 1호기 전체에서 일 년간 나오는 방사능 삼중수소 양은 멸치 한 마리 먹는 것과 똑같은 삼중수소 양입니다. 후쿠시마 오염 처리 방류수 전체가 일 년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일 년에 전복 한 마리에 들어있는 방사능 폴로늄을 먹는 것과 똑같은 효과입니다. 폴로늄을 한계치 이상 섭취하면 독성이 있지만, 미량은 보약입니다. 폴로늄이 독성을 가지려면 전복을 2만개 이상 배가 터지도록 일시에 먹으면 됩니다. 생소고기, 장어,, 전복 표고버섯, 굴 등 남자의 거시기에 좋은 음식은 다 일관성 있게, 방사능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방사능이 무섭다고 떠들어대는 자들은 거의 다 남자의 거시기에 좋다고 하면 남의 것까지 뺏어 먹는 자들입니다. 자연이고 인공이니까 다르다구요? 백설탕과 흑설탕의 성분이 다릅니까? 영양 효과가 다릅니까? 방사능 방사선에 대한 공포는 원자력이 없어져야 돈을 더 많이 오래 벌 수 있는 석유나 가스업자들이 탈핵 무당들을 세뇌시키거나 지원하여 창조하고 가공한 공포이지(generating bias by marketing strategy), 방사능 물질이 인간의 건강에 실제로 해를 끼쳐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기분‧정서와 사실‧과학이 다른 이 문제를 실제로 해결할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 밖에는 없습니다. 언론에 나와서 떠들고 있는 우리나라 탈핵 무당들은 정말 可觀입니다. 순진무구한 겁이 많은 국민들은 상대로 사기 공갈포를 시도 때도 없이 날리고 있습니다. 그들의 말에는 단 하나의 사실도 진실도 없습니다. 모르고 착각해서 그런 것인지, 마누라가 유명해지고 빨리 돈 벌어오라고 족치니까 그런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언론계에 종사하는 이들도 소문과 풍문에만 반응하고, 감으로 세상을 살 뿐 공부라고는 안 하고 책이라고는 안 읽습니다. 마블 쇼나 김현정 쇼 등에서는 엉터리 패널을 모셔놓고 장단을 맞추고 추임새를 넣습니다. 참 슬픈 코미디입니다. 마음이 너무나 순진한 국민들은 사이비 과학자인 탈핵 무당들의 사기 거짓 발언은 찰떡처럼 믿고, 진실과 사실과 과학만을 말하는 사람의 말은 믿지도 않고, 듣지도 않고, 보지도 않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진퇴양난에 빠집니다. 비생산적인 소문의 헛다리 잡고 삐약 삐약하다 다 죽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공영방송 3사 KBS, MBC, SBS가 공동 주관하는 ‘후쿠시마 방류수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끝장 토론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 후쿠시마 방류수 문제는 광우병 소동보다 훨씬 휘발성이 크고 국정의 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 ‘사실과 과학파’는 방류 걱정이 기우라는 측에서는 정범진, 정용훈, 주한규 맹장들입니다. 3J를 토론자로 출전시키겠습니다. 방류 결사 반대쪽에서는 3명이 와도 괜찮고 4명이 와도 5명이 와도 괜찮습니다. 서균열, 이정윤, 박종운, 김익중 등 TV 나오고 싶어 환장하는 족속들이 나와 줬으면 좋겠고, 청담동에 가서 스트레이트 파마 고대하기를 좋아하는 양이원영이가 나와도 좋겠습니다. 농담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윤 대통령에게는 TV 토론을 조기에 추진하는 것이 국정 수행 동력 확보의 급소입니다. TV 3社, 그리고 정치권도 마땅히 적극 협조해야 합니다. 국민들도 쌍심지를 켜고 누가 맞는 말을, 누가 거짓말을 하는지를 밤이 새도록 지켜보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8할 이상이 믿고 있는 후쿠시마 오염 처리 수 방류반대는 틀린 것입니다. 전 세계가 문제가 없다는데, 한국과 일본 수산인 일부만 極烈 반대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誤認이고 誤解입니다. 바다와 대기는 흐르면 거의 다 천천히 정화됩니다. 천지 만물을 만드신 창조주하나님이 내린 축복입니다. 창조주는 위대합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와 방송국 관계자에게 간절히 건의합니다. 하루라도 빨리 방류 무해파 주장 3인 정범진, 정용훈, 주한규 3J와, 방류 결사 반대파 3인 서균열, 이정윤, 양이원영 3인간에, 방송 3사 주관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밤샘 끝장 토론>을 실시하시기를 바랍니다. 과학의 시대에 서로 코끼리 다리 만지면서 우김질하는 법이 어디 있습니까? 아무 잘못도 죄도 없는 수산업자들의 권익은 누가 보호할 것입니까? 후쿠시마 오염 방류수 처리 문제는 광우병 소동과 똑 같습니다. 나도 좀 배우게 일체의 선입견을 배제하고 방송 3사에서 주관하여 공정 공평하게 공개 토론을 실시하시길 바랍니다. 언론이 하는 역할이 이보다 더 중요한 게 있을 수가 있겠습니까? 우리 인간은 똑똑하고 현명한 듯하지만,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습니다. 제발 겸허해집시다. 요즘 ‘오염수냐? 오염 처리수냐?’라는 단어 선택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말 장난 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빗물을 모아서 식수로 사용했습니다. 냇물을 그대로 마시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산업화로 사람들이 도시로 모여 들기 시작하면서 생명과 농업에 필수적인 물을 모아다가 각 가정으로 연결하는 상수도가 생겼습니다. 가정마다 들어오는 식수원이 무엇입니까? 한마디로 빗물을 모은 것이 아닙니까? 상수도에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소독과 살균된 물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물을 뭐라고 합니까? ‘빗물 처리수’라고 부릅니까? 아니면 ‘냇물 처리수’라고 부릅니까? 수돗물이라고 부릅니까? 그냥 수돗물이라고 부르지 않습니까? 그리고 요즘 사람들은 수돗물보다 생수를 구입해서 마십니다. 이 생수 역시 어디서 나오는 것입니까? 공장에서 소독과 살균 처리해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까? 그런데 공장에서 출하되는 이 물을 ‘처리수’라고 부릅니까? 아니지 않습니까? 그냥 ‘생수’라고 부릅니다. 문재앙 정부 때에도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일곱 차례의 전문가 간담회를 진행한 결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과학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결론(2020년 10월 15일)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뀌니까 해양 오염으로 선동질이나 하는 것이 도대체 무슨 난리입니까? ‘오염수’니, ‘오염 처리수니’라고 하는 것도, 저들의 뻔한 수작이 아닙니까? 윤석열 대통령께서는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대책에 관해, 공영방송 3社 주관 ‘끝장 토론’을 즉각 실시하시길 바랍니다.

원암 장영주 칼럼 더보기

원암 장영주 칼럼,대한민국과 대박민국 (상)

대한민국과 대박민국 (상) “대한(大韓)‘이란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일통’의 거국적인 꿈을 마침내 이루었다는 가슴 뜨거운 선언이다. ‘대한제국(1897년~1910년)’은 나라의 주인이 황제라는 뜻이었으나 결국 경술국치로 멸망하였다. 9년 뒤인 1919년 3월 1일 ‘백성(국민)’들의 자주적 결행으로 기미년 삼일만세 운동이 일어난다. 한반도의 독립과 민주화를 향한 폭발적인 기운은 들불처럼 맹렬하게 국내외로 퍼져나간다. 당시 지구촌의 생령의 2/3가 서구제국의 식민철권통치로 신음하고 있던 터이다. 동방의 한 모퉁이의 작은 나라에서 점화 된 평화의 횃불이 인류의 자유와 인권보호의 크고 강력한 시발점이 되는 전기가 되었다. 한 달 뒤인 4월 10일 상해 임시의정원 첫 회의에서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가 정해진다.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는 뜻이 한마음으로 통한 것이다. 황제가 주인인 ‘대한제국’으로 멸망했으니 국민이 주인 되는 ‘대한민국’으로 흥해보자는 독립투사들의 통찰력이자 결단어린 선택이었다. ‘대한민국’이란 국호제정은 대한제국으로의 복국(復國)이 아니라 국민이 주인인 현대적인 체제의 국가로 새롭게 태어난 것이다. 한 번도 민주주의를 경험하지 못한 조선의 역사에서 단 10년 만에 미래의 자유사회로 순간 이동한 셈이니 역사적인 대박이 터진 셈이다. 이 또한 인류의 미래를 위한 거룩하고 빛나는 선언이 아닐 수 없다. 대한의 ‘한(韓)’이란 글자는 순수한 우리말인 ‘한’을 한자에서 음차 한 것이다. 우리말의 ‘한’은 중앙아시아의 ‘칸’과 동의어로 지도자, 중심, 시원, 밝다, 크다. 영원하다 등등을 뜻한다. 뿐만 아니라 숨을 내 쉬거나 들이 쉴 때를 ‘호흡’이라고 하고 ‘하하하’ 웃고 ‘흑흑흑’ 흐느끼고 피곤하거나 마음이 어두우면 절로 ‘한숨’을 쉰다. 이처럼 ‘한’은 기본적인 생명원음이기도 하다. 6월이 되면 침략의 역사와 이를 물리치고 자유를 되찾으려고 생명을 초개처럼 버린 선열들의 뜨거운 한숨이 내 생명의 숨결 속에서도 거울처럼 비추어진다. 유월은 ‘호국보훈의 달’로 1일은 국가제정 ‘의병의 날’이고 6일은 ‘현충일’이다. 현충일이 6월 6일로 지정된 것은 고려 현종 5년, 망종(芒種)날을 기해 조정에서 장병의 유골을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는 기록에서 기인되었다. 보리가 익고 모내기가 시작되는 날인 '망종'은 농경사회에서는 “가장 좋은 날”인 만큼 마땅히 선열에 제사지내는 날이었다. 1014년의 일이니 천 년 전부터 생겨난 전통이다. 1592년 6월1일, 홍의장군 곽재우가 의병을 이끌고 ‘정암진 전투’에서 임진왜란의 첫 승리를 거둔 날이다. 그러나 6일 후, 조선 최고의 명장 신립 장군이 이끄는 정규군은 충주의 탄금대 전투에서 전몰당하면서 천추의 한을 남긴다. 1592년 6월 16일이 되자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수군이 옥포에서 해전으로는 첫 대승을 거둔다. 1949년 6월 26일, 독립운동에 모든 것을 바친 ‘김구 선생’이 남북의 충돌을 막고자 동분서주하다가 흉탄에 쓰러졌다. 꼭 1년 뒤인 이듬해 6월 25일, 북한 김일성은 기다렸다는 듯이 기습 남침을 함으로써 동족상잔의 비극이 탄생한다. 한국인 250만 명, 중국인 100만 명, 미국인 5만4천 명 등 4백만 명 정도가 사망하였다. 남한은 산업시설 43%, 주택 33%가 파괴됐으며 북한은 공업생산력의 60%, 농업생산력의 78%가 파괴되었다. 6.25동란은 인류 역사상 4번째로 피해가 큰 전쟁으로 기록되고 초토화 된 한반도는 허리가 동강 난 채 지금껏 분단이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불탄 자리에도 생명은 강인하게 돋아나듯이 우리는 결코 꺾이지 않고 다시 일어난다. 6.25때 태어난 신생아들이 73세가 된 지금 ‘대한민국(大韓民國)’은 2차 세계대전 후 태어난 140여개의 신생국 중 산업화, 민주화를 이룬 유일한 나라가 되었다.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다. 오직 살아남기 위해 개발해온 무기들이 이제는 세계적인 방산수출품이 되어 나라의 경제에 도움을 주고 6위의 군사력을 갖춘 나라가 되었다. 2023년 5월 26일, 우여곡절 끝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니 대한민국 앞에 ‘우주의 문’도 활짝 열렸다. 누리호는 설계, 제작, 시험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이로서 적은 인원과 최소한의 예산으로 ‘미사일 7대 강국’ 반열에 오르니 강대국들과의 경쟁에 뛰어든 지 불과 30년 만에 이룬 대박쾌거이다. “아직도 12척의 전선이 남아 있고, 신의 목숨 또한 스러지지 않았음에 적도 감히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今臣戰船 亦有十二 臣若不死 則賊亦不敢侮我矣) 모든 것을 빼앗긴 전장에서 자신의 목숨으로 마지막 승리를 이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우렁찬 숨소리이다. 그렇다. 목숨이 붙어있는 한 결코 꺾이지 않는 것이 대한국인이다. 대를 이어 물려받은 불퇴전의 용기와 공생의 지혜로 인류 진화를 선도하는 것만이 우리 대한민국의 크고 밝은 대박 사명인 것이다.

강석종 칼럼 더보기

강석종 칼럼,"한국 전쟁 고아의 아버지 참전용사 위트컴 장군을 아십니까? "

한국 전쟁 고아의 아버지 참전용사 위트컴 장군을 아십니까? 어제 저녁에 텔레비전을 보다가 뉴스에 ‘파란 눈의 의인’, ‘고아의 아버지’,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위트컴 장군’이라는 멘트가 나왔습니다. 누구인지 궁금해서 위트컴 장군(Richard S. Whitcomb)에 대해서 살펴 봤습니다. 부산시 남구 대연동에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엔이 관리하는 전몰장병 묘지인 ‘세계 유엔 기념공원’이 있습니다. 전쟁과 평화의 기억이 공존한 부산은 6·25 전쟁에서 전투는 없었지만 전쟁의 흔적이 짙게 남아있는 곳입니다.이곳에는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해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우방국 2,300여 기의 영령과 함께 유일하게 미국 장성인 리차드 위트컴 장군이 잠들어 있는 곳입니다. 리처드 위트컴은 1894년 미국 중부 캔자스주 캔자스시티에서 출생했습니다. 아버지 조지 허버트 위트컴은 캔자스주 대법관을 역임한 저명 법률가였고, 어머니 제시 위트컴 역시 당시 남자대학에서 최초로 강의한 법학 교수였습니다. 전통적인 청교도 가문에서 태어나 엘리트 교육을 받은 리처드 위트컴은 유년 시절 기독교적 정의와 인류애를 터득했습니다. 캔자스주 토피카의 워시본(Washbon) 대학에 진학한 후 미식축구 선수, 토론회 우수 토론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같은 시기 학생 자원 선교활동회(SVM· Stu 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에서도 활동하며 선교사로서 필리핀에서 사역하는 꿈을 꾸었습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미국이 참전을 결정하여 학군사관후보생(ROTC)으로 장교 임관한 위트컴도 전쟁에 참전하여 유럽에서 활약했습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당시 독일 해군의 이동 감시초소인 아이슬란드 케플라비크 기지 건설 참여 후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 가장 치열한 전투였던 오마하 전투에 참전하여 5만여 명의 연합군 병력, 군수 물자 수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제임스 밴 플리트(James Alward Van Fleet)와 더불어 프랑스 최고 무공훈장을 받았습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는 17만 명의 대규모 병력이 동원된 필리핀 상륙작전의 수송, 군수 보급 업무를 마치고 준장으로 승진했으며, 1953년 6·25전쟁 휴전협정이 무르익어갈 무렵 부산의 제2군수기지 사령관으로 부임했습니다. 군수기지 사령관으로 재임하던 1953년 11월 27일 오후 8시 30분, 부산역 부근에서 큰 불이 났습니다. 난롯불 부주의로 일어난 불은 강풍을 타고 순식간에 확대되어 대화재가 발생했습니다. 14시간에 걸친 화마는 부산역 인근 번화가의 주요 건물 및 민가 등 약 1,250호를 태우고 다음 날 오전 10시 20분에 완전히 진화되었습니다. 피해는 주택 3,132채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사상자 29명, 6,0 00여 세대 3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습니다. 판자집도 변변히 없어 노숙자에 가까운 생활을 하던 피난민들은 부산역 건물과 인근에 있는 시장 점포 등이 유일한 잠자리였는데 대화재로 오갈 데가 없게 되었으며, 입을 옷은커녕 먹을 것도 없었습니다. 참상을 목격한 위트컴 장군은 민간에 사용할 수 없는 군수 물자를 직권으로 군수창고를 열어 추위에 갈 곳이 없는 이재민들에게 천막촌을 건립해 주고 군용담요와 군복, 먹을 것 등을 3만 명의 피난민들에게 골고루 나눠주었습니다. 정부도 할 수 없었던 용단이었으나 군수 물자 무단 전용 혐의로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연방 의회의 청문회에 불려갔으며,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도 증언해야 했습니다. 의원들의 쏟아지는 질책에 장군은 조용히 말했습니다. “우리 미군은 전쟁에서 반드시 이겨야 하지만, 미군이 주둔하는 곳의 사람들한테 위기가 닥쳤을 때 그들을 돕고 구하는 것 또한 우리의 임무입니다. 주둔지의 민심을 얻지 못하면 우리는 전쟁에서 이길 수 없고, 이기더라도 훗날 그 승리의 의미는 쇠퇴할 것입니다”라고 답했으며, “전쟁은 총칼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그 나라 국민을 위하는 것이 진정한 승리이다(War is not done with sword nor the rifle. Genuine triumph is for the sake of the people in the country).”라고 말해 오히려 의원들은 일제히 기립하여 오래도록 박수를 받았습니다. 미국 정부는 추가 군수품을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군수기지 사령관의 1차 소임은 장기전으로 소모된 유엔군에게 막대한 장비와 탄약을 재보급하여 화력 전투를 보강하고 한국군의 전력을 증강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휴전을 성립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긴박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전투에 사용할 군수 물자를 무단으로 전용하며 민간의 아픔과 고통을 품는다는 것은 비상식적일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위트컴은 한국인들이 겪고 있는 전쟁의 고통과 필연적 후유증을 인간적인 측면에서 가슴 아파했던 것입니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 온 뒤 장군은 전쟁이 끝났는데도 돌아가지 않고, 정치권을 설득해 군수기지가 있던 곳을 이승만 대통령한테 돌려주면서 ‘이곳에 반드시 대학을 세워달라’고 청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약 50만 평의 캠퍼스 부지를 제공받았고, 휘하 공병부대를 동원하여 교사(校舍) 건축을 도왔습니다. 그곳이 바로 지금의 부산대학교로써, 부산대학교가 설립된 배경입니다. 그러나 부산대 학생도, 교직원도, 졸업생도 이런 사실을 거의 모를 것입니다. 이 외에도 이재민 주택 건설, 도로 건설, 의료 시설 건립 등을 지원하고 부산대를 비롯한 각급 학교 설립을 도와 한국과 부산의 전후 재건에 힘썼습니다. 부산 대화재를 계기로 위트컴 장군은 한국 정부와 부산시의 총체적인 재건을 위해 당시 테일러 주한 미8군 사령관과 긴밀한 협의를 하면서 미군대한원조(AFAK) 프로젝트를 계획했고 미국 의회 등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는 부산 대화재를 극복하기 위한 묘책으로 위트컴 장군이 제안하고, 미8군 사령관 맥스웰 테일러(Maxwell D. Taylor) 장군이 승인해 탄생했습니다. 또한 장군은 영도구의 피난민촌에서 만삭의 임산부가 보리밭에서 아기를 낳는 장면을 목격하고 조산소를 설치해 주었으며, 부산 중구에 메리놀병원을 증축하는 데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6.25 전쟁 두 달 전인 1950년 4월 15일 메리놀 수녀회에서 설립한 메리놀병원은 시설도 열악하였지만 밀려오는 피난민 환자들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위트컴은 병원기금 마련을 위해 사령관의 체면을 버리고 자신은 파란 눈의 갓에 도포를 걸친 노인으로, 메리놀 수녀회와 부대원들은 한복을 입은 서양인으로 단장하여 거리 가장행렬을 하며 모금 활동을 펼쳤습니다. ‘사람들은 장군이 체신없이 왜 저러느냐?’고 수근 거렸지만 개의치 않고 이 땅에 기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동분서주했습니다. 메리놀병원은 위트컴의 노력으로 미군대한원조(AFAK) 기금을 지원받아 1954년 7월 29일 현재의 위치에 지상 3층 160병상을 가진 정식 병원으로 기공식을 하게 되지만 신축 자금은 부족했습니다. 예하 미군 장병에게는 월급의 1%를 기부하게 하여 기금을 충당했습니다. 메리놀병원, 성분도병원 건립 등 전쟁과 굶주림에 시달리는 가난한 병자들을 위한 장군의 발상과 헌신적 노력에 세계가 박수를 보냈습니다. 한복 차림의 벽안(碧眼)의 장군을 두고 ‘라이프(Life)’지는 ‘한국의 양반(Gentle man of Kore a)’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마지막 사명은 1950년 겨울 개마고원 장진호 전투에서 몰살한 수천여명의 젊은 미국 병사들이 유해를 찾아 미국으로 송환하는 일이었습니다. 장진호 전투에서 미국 해병대 절반 이상의 희생이 있었기에 중공군의 남하가 2주간 지연되었고, 이렇게 번 시간을 이용해 피란민들 20여만 명이 그 유명한 ‘흥남 철수’를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리처드 위트컴 장군은 1954년 퇴역 후에도 한국에 남았습니다. 전쟁 기간 틈틈히 고아들을 도와온 위트컴 장군은 당시 전쟁고아를 위해 함께 활동하던 한묘숙 여사와 결혼했습니다. 한묘숙 여사는 남편과 결별 후 두 자녀를 키우던 ‘고아원 원장’이었고, 선물 상자를 들고 고아원을 방문한 위트컴 장군은 독신의 노신사였습니다. 한묘숙의 보육 활동에 감동한 위트컴은 이듬해 전격적으로 청혼하였고, 두 사람은 33년의 나이 차이를 극복하고 결혼을 했습니다. 퇴역 후 전쟁고아 돕기, 미군 유해 발굴에 남은 삶을 바치면서 ‘전쟁고아의 아버지’라는 호칭을 얻었습니다. 1982년 7월 12일 작고한 장군은 “내가 죽으면 한국에 묻어달라.”는 것과, 부인에게 ‘내가 죽더라도 장진호 전투에서 미처 못 데리고 나온 미군의 유해를 마지막 한 구까지 찾아와 달라’고 유언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기념공원 내 미국 묘역에서 영면에 들었습니다. 부인 한묘숙 여사는 그 약속을 지켰습니다. 북조선은 장진호 부근에서 길죽길죽한 유골만 나오면 바로 한묘숙 여사한테로 가져왔고, 한 여사는 유골 한 쪽에 300불씩 꼬박꼬박 지불했습니다. 그 유골 중에는 우리 국군의 유해도 여럿 있었습니다. 하와이를 통해 돌려받은 우리 국군의 유해는 거의 대부분 한 여사가 북조선으로부터 사들인 것들입니다. 한 여사는 한때 간첩누명까지 쓰면서도 굴하지 않고 남편의 유언을 지켰습니다. 장군의 연금과 재산은 모두 이렇게 쓰였고, 장군 부부는 끝내 이 땅에 집 한 채도 소유하지 않은 채 40년 전에 이승을 떠났습니다. UN공원에 묻혀있는 유일한 장군 출신 참전용사가 바로 위트컴 장군입니다. 끝까지 그의 유언을 실현한 부인 한묘숙씨도 장군과 합장되어 있습니다. 국가보훈처는 작년 11월 8일, 민족상잔의 비극 6·25전쟁 이재민을 돕고 한국 재건에 힘쓴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다.’고 평가받는 고(故) 리처드 위트컴(Richard S. Whitcomb) 미 육군 준장에 대한 국민훈장 1등급인 무궁화장 추서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으며, 작년 11월 11일,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식에서 한덕수 국무총리가 위트컴 장군 자녀인 민태정 위트컴희망재단 이사장에게 훈장을 추서했습니다. 그런데 이 땅에는 전봉준 동상은 있어도, 전태일 기념관은 있어도, 위트컴 장군에 대한 동상 하나 없습니다. 부산에도, 서울에도 없습니다. 위트컴 장군 조형물 건립은 2018년 한 차례 추진된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유엔평화기념관에 조형물 설치를 추진할 예정이었지만 노출 빈도가 떨어진다는 내부 지적 때문에 무산됐습니다. 이후 기약 없이 답보하던 조형물 제작은 작년 11월 국가보훈처가 위트컴 장군에게 국민훈장 1등급 무궁화장을 추서하기로 결정하면서 급물살을 탔습니다. 이러한 리처드 위트컴 장군의 인류애와 한국 사랑 정신을 기리기 위해 장군이 떠난 지 꼭 40년 만에 뜻있는 자들이 모여 위트컴 장군 조형물을 만들기로 결의했습니다. 조형물 건립 시민위원회도 11월 10일 발족했습니다. ‘리차드 위트컴 장군 조형물 건립 시민위원회’ 발족 행사장에는 각계각층 인사 100여 명이 모였습니다. 부산 남구를 지역구로 둔 박수영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시민위원회 발족식 개회사에서 “70년 전 부산역전 대화재로 추위와 배고픔에 떨었던 이재민 3만 명이 위트컴 장군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이제 되돌려줄 차례이다. 시민 3만 명의 성금 모금을 통해 기념조형물을 건립하고 장군의 정신을 되새기자.”고 말했습니다. 위트컴 장군의 딸 민태정 위트컴희망재단 이사장은 “조형물 건립은 아버지의 뜻을 기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청중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부산지역 정계, 재계, 언론계, 학계 인사로 구성된 ‘리차드 위트컴 장군 조형물 건립 시민위원회’는 2023년 11월 10일까지 1년간 시민 3만 명이 1만 원씩 내는 방식으로 총 3억 원을 모금해 조형물을 건립하는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사업에는 향토건설업체 협성종합건업 정철원 회장이 몇 년 전 조형물 건립을 위해 3억 원을 희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시민모금운동 방식으로 장군의 조형물을 건립하기로 한 것은 동상 건립 자체보다 장군이 부산시민을 위해 베푼 정신을 공유하고 기리자는 취지에서입니다. 모금 예상 인원 3만 명도 의미가 있습니다. 1953년 11월 27일 부산역 대화재와 관련 있습니다. 이날 화재로 6,000세대 3만 명의 이재민은 추위와 배고픔에 떨어야만 했습니다. 3만 명은 당시 위트컴 장군의 도움에 대한 보은(報恩)의 의미가 담겼습니다. 위트컴 장군의 조형물이 올 해 11월 즈음에는 부산에 세워질 것 같습니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국가 예산 말고, 재벌 팔을 비틀지도 말고, 70여년 전 수혜를 입었던 피난민 3만명, 딱 그 수만큼 1인당 1만원씩 해서 일단 3억 원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민주주의의 생명은 참여입니다. 보은도 십시일반, 참여해야 합니다. 1만원의 기적을 이루어 봅시다. 70년전, 전쟁고아들을 살뜰하게 살피던 위트컴 장군을 생각하면서, 메리놀 병원을 세워 병들고 아픈 이들을 어루만지던 장군의 손길처럼, 대학을 세워 이땅에 지식인을 키우려던 그 철학으로, 부하의 유골 하나라도 끝까지 송환하려고 했던 그 마음을 생각하며 각자 내 호주머니에서 1만 원씩 냅시다. 딱 커피 두 잔 값씩만 냅시다. 1만 원의 기적이 한국병을 고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설마 이 땅에 1만원씩 낼 사람이 3만명도 안 되지는 않겠지요? 1만원의 기적은, 부산은행 101-2073-6988-01 (사)국제평화기념사업회를 통해 이루어지리라 믿습니다.

차석호 칼럼 더보기

차석호 칼럼,"ChatGPT는 만능이 아니다"

ChatGPT는 만능이 아니다 GPT-3.5 기반의 ChatGPT가 등장하자 많은 사람이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ChatGP와 채팅을 통해 주고받은 답변을 보면 인간이 하는 것과 거의 유사했다. ‘Who is the famous Korean football Player?’이라는 질문을 했을 때 ChatGPT는 ‘Son Heung-min’이라고 답했다. 게다가 손흥민이 왜 가장 유명한 한국인 축구선수인지 그 근거도 같이 제시했다. 이 정도면 인간이 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것만 보면 인공지능이 인간과 비슷한 능력을 갖춘 것 아니냐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No’다. ‘가장 유명한 한국인 축구선수가 누구냐?’는 질문에는 ‘손흥민’이라는 답과 그 근거를 제시했지만 ‘How do you think about Son Heung-min?’이라는 질문에는 ‘As an AI language model, I don't have personal thoughts or emotions’ 즉, ‘인공지능 언어 모델로서, 나는 개인적인 생각이나 감정이 없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그리고 뒤에 오는 문장은 손흥민에 대한 정보들이지 개인적인 생각이 아니다. ChatGPT가 답했듯이 인공지능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질문 말고 다는 질문은 어떻게 답할까? ChatGPT에게 ‘What is the best fast food restaurant?’이라는 질문을 했을 때, ‘As an AI language model, I do not have personal preferences or opinions.’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답변을 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인공지능 언어 모델로서, 나는 개인적인 선호나 의견이 없다‘라는 말이다. 그 뒤에는 ‘However, some of the most popular fast food chains globally are McDonald's, KFC, Subway, Burger King, and Taco Bell.’이라고 나온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페스트푸드 체인을 이야기한다. 이처럼 개인적인 취향을 묻는 질문에는 ChatGPT가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는 기본적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은 학습된 빅 데이터에서 자료를 가져올 뿐 자신만의 생각이 없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나만의 생각이 있어야 내 생각, 내 의견, 내 취향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100명의 사람에게 취향을 물어보면 100개의 답이 나오지만 인공지능은 100개의 기계가 있으면 동일한 답이 나온다. 이런 것을 보면 ChtGPT는 놀라운 것이긴 하지만 맹신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최만순의 약선요리 더보기

최만순의 약선요리,"통풍을 예방하는 차"

최만순의 약선요리 스치는 바람에도 죽을 만큼 고통스럽다. ′통풍′이 잘 발병하는 24절기 중 ′망종시절(芒種時節)′이다. 망종 풍속은 보통 농사의 한 해 운을 보며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였다. 세시 속담에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다. 망종 전에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망종이 지나면 무르익은 보리가 바람에 쓰러지는 일이 많아 최소한 이 때까지는 보리 베기를 마쳐야 한다. 예전에 경상도는 보리를 많이 심었다. ″발등에 오줌 싼다″는 속담처럼 1년 중에 이 시기가 가장 바빴다. ′본초(本草)′에 보리는 맛은 달고 평하며 비장과 위장으로 들어간다. 효능은 젓을 잘 나오게 하며 뱃속에 소화되지 않은 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고 구토나 설사가 나오며 유방에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경남 남해에 사는 필자의 제자는 매년 바닷바람을 머금은 야생화와 약초를 채취를 하여 효소를 만든다. 그 중에서 ′구절초′가 6월 첫 더위에 좋다. 약선에서 음식을 만들 때는 증세에 따라 식재를 선택하여 요리한다. 첫째 질병이나 재료의 음양을 항상 먼저 생각하게 된다. 크게 구분하면 밖은 양이요 안은 음이다. 급성병은 대개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 등 맹렬한 통증을 동반하여 온다. 그 반면에 만성병은 대체로 안쪽에 숨어 있는 증세다. 만성병은 병세도 급격하지 않고 치료 또한 쉽지 않다. 보통 밖으로 드러나는 병세를 치료하는 방법은 첫째 땀을 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땀을 내면 ′발한해열(發汗解熱)′에 의하여 병의 독을 살갗과 호흡기를 통해 몸 밖으로 발산을 시켜준다. 이와는 반대로 안에 있는 증세의 치료법은 아래로 내려 준다. 이것은 곧 이뇨제나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재료를 쓴다. 병의 근원을 대변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설을 시켜준다. 보통 땀을 내는 재료는 담백한 향기가 난다. 향기란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서 흩어져 버리는 성질을 가진 양성재료다. 아래로 내리는 재료는 쓴맛이 있는 음성재료다. 그러므로 겉으로 드러나는 증세와 안에 숨어 있는 증세를 음과 양으로 갈라서 선택을 한다. ■통풍을 예방하는 차 ▲효능-갑작스런 더위는 소화기관(脾胃)을 냉하게 만들어 혈액이 잘 돌지 않는다. 수족 냉증으로 손발이 저리고 통풍이 오는 것을 방지하며 여름 감기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개화직전의 구절초1kg. 원당800g ▲만드는 법 1.구절초를 흐르는 물에 씻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말린다. 2.꽃과 설탕을 넣고 3개월 후 채에 받쳐 액기스를 받는다. 3.액기스만 1년 이상 숙성시켜 효소를 만든다. 4.효소 20g을 1회분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신다.

주요뉴스

경제

문화/생활

특별대담

원암 장영주 칼럼

강석종 칼럼

차석호 칼럼

최만순의 약선요리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