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도신공항 성공 위해 지역거점항공사 필요"… 한진그룹 독점 정책에 반발
부산 지역 시민단체가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대한항공의 독점적 지배를 반대하며, 지역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지역거점항공사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사단법인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과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은 3월 17일 오전 10시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도신공항을 대한항공에 맡길 수 없다"며 대한항공의 항공산업 독점 행태를 규탄했다. 이어 부산시청과 경찰청을 거치는 가두행진을 벌이며 지역 항공산업 보호를 촉구했다.
대한항공의 에어부산 통합, 부산 무시 논란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3월 11일 한진그룹 조원태 회장이 대한항공의 신규 CI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에어부산과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운영 방안을 밝힌 것이 계기가 됐다. 조 회장은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은 처음부터 고려 대상이 아니었으며, 통합 LCC는 진에어를 중심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부산 시민사회는 "부산을 거점으로 성장한 에어부산이 결국 서울과 인천 중심의 항공정책에 희생되고 있다"고 반발했다.
특히 대한항공이 진에어를 중심으로 단거리 노선 운영을 계획하면서, 가덕도신공항이 장거리 노선을 운영하는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는 "대한항공이 수도권 중심 항공정책을 강화하면서 가덕도신공항을 군소공항 수준으로 전락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에어부산은 부산의 심장"… 시민단체 강력 반발
기자회견문을 낭독한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에어부산은 부산 시민이 직접 투자하고 18년간 함께 성장시킨 지역의 자산"이라며, "부산시민의 피와 살이 녹아든 향토기업을 대한항공이 강탈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부산 시민의 혈세 100억 원을 유상증자로 투입해 지켜온 에어부산이 결국 대한항공의 독점적 운영 아래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며, "지역의 항공산업과 일자리까지 수도권으로 빨려가는 상황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단체는 대한항공이 에어부산을 흡수한 후에도 국토교통부로부터 운수권 배분을 받지 못하는 등 지역 항공산업이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지역거점항공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정치권과 정부, 지역 항공산업 보호해야"
이들은 "부산 정치권과 정부는 더 이상 지역 항공산업을 외면하지 말고, 가덕도신공항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한항공 견제를 위한 항공정책 수정 ▲가덕도신공항을 기반으로 한 신규 지역항공사 ‘부산에어(가칭)’ 설립 ▲부산을 본사로 등록할 항공사 유치 등의 요구를 내놓았다.
또한 "부산시는 대한항공과의 협상에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며, 지역 기업과 시민의 요구를 무시해왔다"며 박형준 부산시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시민단체는 "정부와 부산시, 국토교통부, 산업은행은 지역 항공산업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며, 만약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대한항공 불매운동 ▲정부 관계자 및 부산시장의 사퇴 촉구 ▲대규모 항의 시위 등의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사단법인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이지후 이사장과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관계자들이 참석해 가덕도신공항의 독립적 운영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