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 직전 위기 대응부터 통관 자문까지… 부산경제진흥원과 함께 맞춤형 해외진출 프로그램 본격 시행
부산시가 수출을 앞두고 갑작스러운 문제에 직면한 중소기업들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에 나선다.
시는 부산경제진흥원과 함께 ‘2025년 중소기업 수요응답형 긴급지사화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수출 계약을 눈앞에 둔 지역 중소기업이 예기치 못한 해외 현장 이슈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단기 집중 지원 프로그램이다.

긴급지사화란, 수출이 임박했거나 계약 직전 단계에 있는 기업이 통관 문제, 언어 장벽, 법률 자문, 출장 필요 등 다양한 돌발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지 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수출 준비 막판, 실제로 필요한 부분에 집중 지원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은 수출 과정에서 꼭 필요한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해외 바이어를 만나기 위한 출장 준비를 도와주고, 수출 판로 확대를 위해 해외 전시회 참가를 지원한다. 또 수출과정에서 흔히 마주하게 되는 복잡한 물류나 통관 절차에 대한 전문가 자문도 받을 수 있으며, 현지 시장에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인허가 취득 과정까지도 밀착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은 코트라(KOTRA)의 해외무역관 네트워크를 통해 진행되며, 기업별 상황에 맞춘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
신청은 5월 21일부터… 중소기업 현장 애로에 신속 대응
지원 대상은 전년도 수출액이 3천만 달러(한화 약 419억 원) 이하인 부산 소재 중소기업이며, 사업은 연 2회(5월과 10월) 진행된다.
이번 상반기 신청 기간은 5월 21일부터 6월 4일까지이며, 부산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trade.bepa.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외지사화 사업 공식 누리집(www.exportvoucher.com/jisahwa)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봉철 부산시 디지털경제실장은 “수출 막바지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문제가 기업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이번 긴급지사화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장 중심의 해외마케팅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댓글0